심심해서 하는 블로그 :: 'mysql' 태그의 글 목록


전체 소스 코드 : https://github.com/ssooni/ssoonidev_blog

Spring Boot : ver 1.5.9

JAVA : ver 1.8 

Build Tool : MAVEN


1. 목표

사용자가 View를 통해 데이터를 조회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기존 데이터를 삭제, 수정이 가능한 웹페이지를 작성하는 것이 이번 포스팅의 목표입니다.


2. pom.xml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dependency>
    <groupId>org.mybatis.spring.boot</groupId>
    <artifactId>mybatis-spring-boot-starter</artifactId>
    <version>1.3.1</version>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starter-web</artifactId>
</dependency>
 
<!-- MYSQL -->
<dependency>
    <groupId>mysql</groupId>
    <artifactId>mysql-connector-java</artifactId>
    <scope>runtime</scope>
</dependency>
 
<!-- JSP / JSTL -->
<dependency>
    <groupId>javax.servlet</groupId>
    <artifactId>jstl</artifactId>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apache.tomcat.embed</groupId>
    <artifactId>tomcat-embed-jasper</artifactId>
</dependency>
 
cs


해당 Spring Boot 프로젝트에 필요한 Dependency Library를 추가해 줍니다. 

주요 라이브러리를 간단하게 소개하고 넘어가죠.


mybatis-spring-boot-starter

Mapper라는 아주 좋은 기능을 가지고 있는 Persistence Framework MyBatis를 사용합니다. 

JDBC만으로 코드를 작성하면 PrepareStatement, Connection 등을 사용하여 연결하고, 데이터베이스의 결과를 직접 매핑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는데 @Mapper 와 설정 파일을 이용하면, MyBatis가 매핑까지 해줘서 간단하게 코딩이 가능합니다. 


mysql-connector-java

정형 데이터베이스 MySQL와 연결을 위해 사용하는 라이브러리입니다. Spring Boot의 설정 파일 application.properies에 작성한 URL과 mysql User 정보 등을 읽고 데이터 베이스에 접근합니다.


3. MySQL 테이블 생성

1
2
3
4
5
6
7
create database ssooni;
use ssooni;
create table board(
    bno int auto_increment primary key
    userName varchar(10),
    contents text );
insert into board(userName, contents) values("ssooni""Welcome!!");
cs


(MySQL 설치 및 설정 방법은 추후에 포스팅할 예정입니다.) 

MySQL Workbench나 cmd(또는 bash)를 이용하여 MySQL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해봅시다.

그 후, 위의 쿼리를 이용해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사용할 board 테이블을 만들고, 데이터베이스에 Sample 데이터를 입력하는 과정까지 진행해 봅시다.


그리고 테이블 생성과 데이터 입력이 잘 되었는지 확인해 봅시다.

desc [테이블 명] 과 select * from [테이블 명]을 이용하여 위의 그림처럼 조회가 된다면 성공입니다.


4. application.properties 설정

1
2
3
4
5
6
7
8
## View Path Config ## 
spring.mvc.view.prefix=/WEB-INF/view/
spring.mvc.view.suffix=.jsp
 
## Mysql Config ##
spring.datasource.username=ssooni
spring.datasource.password=ssooni
spring.datasource.url=jdbc:mysql://localhost:3306/ssooni?useSSL=false
cs


Spring Boot로 개발을 하면서 가장 괜찮았던 점은 properties 파일에 모든 설정값을 넣어 관리가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yaml 파일 형태로도 물론 관리가 가능하며, 이전 프로젝트에서 활용한 경험이 있습니다. 



가장 첫 번째 단락은 jsp 파일이 있는 경로와 확장자를 지정하는 설정입니다. 기존 Spring Framework에서는 xml 파일을 뒤져서 해당 경로를 지정하는 방법을 쓰는데, xml에 비하면 가독성이 아주 좋은 편이라 편리하네요. 참고로 webapp/WEB-INF/view/ 경로는 위의 그림 파일처럼 직접 폴더를 생성해야 합니다. 


두 번째 단락은 MySQL의 URL 정보와 DB 로그인을 위한 ID / PW 정보를 설정합니다. 

URL의 구조는 보통 jdbc:mysql://[ host ip ] : [ host port ] / [ database name ] ? [ option ]으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지금 저는 localhost의 3306번 포트에 ssooni라는 데이터 베이스에 접근하는 거죠. 

useSSL은 패킷을 암호화하는 Secure Socket Layer의 사용 여부를 설정하는 건데 database에 SSL 설정을 안 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음(false) 옵션을 주었습니다.


5. 설정 끝!! 프로그래밍 하자.

VO 또는 DTO 또는 Domain 클래스 작성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package com.example.domain;
 
public class BoardDomain {
    
    private int bno;
    private String userName;
    private String contents;
    
    // GETTER AND SETTER + TOSTRING
    public int getBno() {
        return bno;
    }
    public void setBno(int bno) {
        this.bno = bno;
    }
    public String getUserName() {
        return userName;
    }
    public void setUserName(String userName) {
        this.userName = userName;
    }
    public String getContents() {
        return contents;
    }
    public void setContents(String contents) {
        this.contents = contents;
    }
}
 
cs


사람들마다 다르게 명명하지만, 아무튼 비슷하게 사용하고 있는 모델 클래스입니다. 데이터 베이스의 각각의 칼럼에 대응하게 작성하여, 조회 결과를 담을 수 있고 새로운 칼럼을 추가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실을 때 사용하는 클래스입니다. 사실상 getter와 setter, Log에 이쁘게 남기기 위한 toString() 함수로 구성된 아주 간단한 클래스입니다.


Annotation 작성 vs mapper.xml 작성

다음은 Mapper Interface 작성입니다. Mapper Class 하나는 MySQL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하나와 대응합니다. MyBatis는 xml 파일 또는 Annotation을 이용해서 쿼리를 설정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접근을 합니다. 저는 두 가지 다 이용해 보려고 합니다. 각각의 장단점은 분명히 있으니깐요.


선택 1) Annotation 작성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Mapper
public interface BoardMapper {
    
    @Select("SELECT * FROM board WHERE bno = #{bno}")
    public List<BoardDomain> findByBno(@Param("bno"int bno);
    
    @Insert("INSERT INTO board(userName, contents) VALUES(#{userName}, #{contents})")
    public void insert(BoardDomain board);
    
    @Update("UPDATE board SET contents=#{contents} where bno=#{bno}")
    public void update(BoardDomain board);
    
    @Delete("DELETE FROM board where bno=#{bno}")
    public void delete(@Param("bno"int bno);
 
}
cs

com.example.dao.BoardMapper.java 코드


MySQL로 할 수 있는 조회(@Select), 생성(@Insert), 갱신(@Update), 삭제(@Delete)를 할 수 있는 코드입니다. @Mapper Annotation과 각각의 함수마다 어떤 쿼리를 수행하는지를 작성하는 것이 끝입니다. 이 방법은 쿼리가 단순한 경우에 사용하면 좋습니다. 


선택 2) Mapper.xml 작성 

1
2
3
4
## Mapper Config ##
mybatis.type-aliases-package=com.example.domain
mybatis.mapper-locations=mapper/**/*.xml

cs


xml 파일로 mapper를 설정하려면 우선 application.properties에 mapper의 위치와 domain 패키지를 추가로 설정해줍니다. domain 패키지는 나중에 mapper.xml에서 resultType을 지정할 때  com.example.domain.BoardDomain 형태가 아닌 BoardDomain으로 간략하게 적기 위해 설정했습니다.

그리고 mapper-locations은 resourse 폴더 안에 mapper 폴더를 만든 후 설정해주시면 됩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xml version="1.0" encoding="UTF-8"?>
<!DOCTYPE mapper PUBLIC "-//mybatis.org//DTD Mapper 3.0//EN" 
    "http://mybatis.org/dtd/mybatis-3-mapper.dtd"
 
<mapper namespace="com.example.dao.BoardMapper"
    <select id="findByBno2" parameterType="Integer" resultType="BoardDomain"
        SELECT * FROM borad WHERE bno = #{bno} 
    </select
</mapper>
 
public List<BoardDomain> findByBno(@Param("bno") int bno);
 
/cs

/resource/mapper/BoardMapper.xml(11번째 줄은 제외)


11번 줄의 코드와 같은 결과를 보여주는 xml 파일을 하나 생성하였습니다. 물론 <insert>등도 가능합니다. 가장 위의 DTD를 입력하면 Ctrl + space 자동 완성을 지원해줘서 작성하기 편리해집니다. 


namepspace에는 mapper를 사용할 인터페이스 명을 사용합니다. 저는 선택 1번에서 사용한 BoardMapper.java 파일을 그대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parameterType과 resultType을 설정해줍니다.


1
2
3
4
5
6
7
8
9
@Mapper
public interface BoardMapper {
    
    @Select("SELECT * FROM board WHERE bno = #{bno}")
    public List<BoardDomain> findByBno(@Param("bno"int bno);
    
    //중간 생략
    public List<BoardDomain> findByBno2(int bno);
}
cs

com.example.dao.BoardMapper.java


아까 작성한 BoardMapper.java에 findByBno2 함수를 다음과 같이 작성했습니다. xml 작성 방법의 장점은 동적 SQL처럼 복잡한 쿼리를 사용할 때 Annotation 보다 훨씬 수월하게 작성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Service 구현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package com.example.service;
 
import java.util.List;
 
import com.example.domain.BoardDomain;
 
public interface BoardService {
 
    public List<BoardDomain> findByBno(int bno);
    public List<BoardDomain> findByBno2(int bno);
    public void insert(BoardDomain board);
    public void update(BoardDomain board);
    public void delete(int bno);
 
}
cs

com.example.service.BoardService.java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package com.example.service.impl;
 
import java.util.Li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Service;
 
import com.example.dao.BoardMapper;
import com.example.domain.BoardDomain;
import com.example.service.BoardService;
 
@Service
public class BoardServiceImpl implements BoardService{
 
    
    @Autowired
    BoardMapper boardMapper;
    
    @Override
    public List<BoardDomain> findByBno(int bno) {
        return boardMapper.findByBno(bno);
    }
        
    @Override
    public List<BoardDomain> findByBno2(int bno) {
        return boardMapper.findByBno2(bno);
    }
 
    @Override
    public void insert(BoardDomain board) {
        boardMapper.insert(board);
    }
 
    @Override
    public void update(BoardDomain board) {
        boardMapper.update(board);
    }
 
    @Override
    public void delete(int bno) {
        boardMapper.delete(bno);
    }
    
}
cs

com.example.service.Impl.BoardServiceImpl.java


"아니.. DAO랑 똑같은데 굳이 또 해야 해???" 

이런 질문을 주변에서 간혹 받기도 합니다. 앞서 말했듯이 DAO는 테이블 당 하나씩 연결되는 것이라면 Service는 비즈니스 또는 기능당 하나씩 사용하는 겁니다. 지금은 Service 클래스가 데이터 베이스의 테이블을 하나 밖에 안 쓰는 경우이지만 , 하나의 기능 상에 테이블을 두 개 이상 사용하는 경우가 실제 프로젝트에서 상당히 많습니다. 예를 들면 게시물을 작성하는 동시에 게시물 History 테이블에 이력을 저장하는 경우가 대표적입니다.


6. Test

여기까지 수행하면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읽는 코드를 작성해서 데이터를 잘 불러오는지 테스트를 진행해보겠습니다. controller 패키지와 그 안에 BoardController Class를 생성하고 아래 코드를 작성해 봅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import java.util.Li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PathVariable;
impor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ModelAndView;
 
import com.example.domain.BoardDomain;
import com.example.service.BoardService;
 
@Controller
public class BoardController {
 
    @Autowired
    BoardService boardService;
    
    @GetMapping("/test")
    public ModelAndView readTest() {
        List<BoardDomain> boardList = boardService.findByBno(1);
        ModelAndView nextPage = new ModelAndView("board/readTest");
        nextPage.addObject("boardList", boardList);
        return nextPage;
    }
}
cs
com.example.controller.Boardcontroller.java

그리고 화면을 보여줄 JSP 파일도 만들어 줍니다. view 폴더 안에 board폴더를 생성한 후 readTest.jsp 파일을 생성해 아래와 같이 작성해 줍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UTF-8"
    pageEncoding="UTF-8"%>
<%@ taglib prefix="c" uri="http://java.sun.com/jsp/jstl/core"%>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html4/loose.dtd">
<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UTF-8">
 
<link rel="stylesheet"
    href="https://maxcdn.bootstrapcdn.com/bootstrap/3.3.2/css/bootstrap.min.css">
 
<title>Test Read Data</title>
</head>
<body>
    <div class="container">
        <h2>Board</h2>
        <table class="table table-bordered">
            <thead>
                <tr>
                    <th>bno</th>
                    <th>contents</th>
                    <th>userName</th>
                </tr>
            </thead>
            <tbody>
                <c:forEach var="board" items="${boardList}">
                    <tr>
                        <td>${board.bno}</td>
                        <td><a href="#">${board.contents}</a></td>
                        <td>${board.userName}</td>
                    </tr>
                </c:forEach>
            </tbody>
        </table>
    </div>
</body>
</html>
cs


결 과 


다음 포스팅에서는 Controller와 View에 대하여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해볼게요.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1. InnoDB

Clustered index

MySQL은 InnoDB에서 작동하는 SQL이다. 그리고 이 InnoDB는 테이블의 기본 키(PK)를 인덱스로 하여 사용하며 동기화 되어 저장한다. 다시 말해 데이터가 변경, 삭제, 삽입이 발생하면 기본 키에 대하여 데이터 레코드를 정렬을 한다. 만약 기본키가 없는 테이블은 not null인 Unique Key를 사용하고 그것마저도 없으면 내부적으로 숨겨진 Row ID를 사용하여 사용하며 새로운 열에 대하여는 단계적으로 증가한 ID값을 넣어 사용한다. 


Secondary index 

InnoDB는 Clustered index를 제외한 나머지 인덱스를 보조 인덱스로 사용한다. 이론적으로 non-clustered index를 사용하면 해당 레코드의 RID(Row ID)로 데이터 레코드에 접근하는데 InnoDB에서는 RID 대신 기본 키 로 대체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기본 키의 크기가 매우 긴 경우에는 보조 인덱스의 크기가 비대해질수도 있으므로 기본키의 크기를 작게 사용하는 것이 좋다.


2. Index Query

index 생성

1. 기본 키 또는 Unique key 선언된 테이블 생성 자동으로 생성

create table [ table_name ] ( column_name 자료형(크기)....  

PRAMARY(or UNIQUE) KEY( [ column_name ] ));


2. 기본 키가 없는 테이블에 기본 키를 지정하는 경우

alter table [ table_name ] ADD PRIMARY KEY [ column_name ]


3. 직접 index 생성

create index index_name using [ BTREE | HASH ] on table_name(column_name);


Index Hint

DB가 보통 최적의 인덱스를 선택하는 경우도 있지만 인덱스의 선택이 옳지 못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인덱스 힌트를 줘서 사용을 강제로 하거나 사용을 못하게 막을 수 있다. 


select * from [ table_name ] ( use | force | ignore ) index [ index_name ] (이하 조건절 생략)


use : 인덱스를 써 볼 것을 권유... (최적화를 고려하므로 강제성이 없다.)

force : 강제로 인덱스 사용. (Table Scan이 더 효율적인데도 강제적으로 사용한다) 

ignore : 해당 인덱스를 사용을 금지한다.


Index List

해당 테이블에 어떤 인덱스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쿼리

show index from [ table_nam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