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Buffer Management
Buffer Management의 역할
사용자가 어떤 쿼리문을 요청하면 DB에서 해당 내용을 메인 메모리의 버퍼 풀에 저장하여 사용한다. 요청한 페이지가 버퍼 풀에 없다면 한 프레임을 대체하여 사용하며 대체되는 프레임이 변경(dirty)되었다면 해당 내용을 디스크 상에도 반영을 하여 준다. 만약 순차적인 스캔 등 다음에 읽을 페이지가 예상이 가능하다면 미리 여러 개의 페이지를 메모리 상에 올려 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Buffer Replacement Policy
LRU, MRU, Clock 등등 다양한 교체 알고리즘으로 정책을 세우되 접근 패턴을 고려하여 선택을 해야한다. 만약 버퍼 프레임보다 페이지의 수가 많다면 Sequential flooding이 발생한다. LRU를 사용하면 I/O하는 시간이 많이 소비되어 이 경우에는 MRU가 비교적 효과적인 알고리즘이 된다.
2. InnoDB record format
Variable Length
한 필드의 타입이 int(4)라면 int형 데이터를 무조건 4개를 넣어라는 것이 아니라 4개 이하의 데이터를 넣을 수 있으며 not null 조건이 없다면 null도 허용된다. 이처럼 데이터 필드의 크기가 변화가능한(variable) InnoDB의 데이터 필드를 저장할 때 각각의 필드의 시작지점을 저장하는 Field Start offset을 함께 저장한다.
Record format
우선 가장 앞의 Field start offset은 각각의 칼럼의 시작 위치를 저장하는 곳이며 Extra Byte 구간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된 모습으로 저장한다. 대게 1Byte를 사용하며 가장 첫 비트는 null여부를 판단하는 비트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F3가 1000 0001이라면 해당 데이터 필드는 null이다. 따라서 표현가능한 크기는 127이하를 표기 가능하며 만약 127이상의 데이터 필드가 있다면 1 바이트를 추가적으로 사용하여 표기가능하다. 두 바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첫 비트는 null여부, 두 번째 비트는 같은 페이지에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표기한다. 왜나햐면 크기를 나타내는 비트의 수가 14개이므로 최대 16,383byte를 표현 가능하므로 같은 필드의 데이터가 다른 페이지 상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Extra Byte는 Field start offset이 1바이트인지 2바이트인지, 다음 레코드의 포인터값 등등을 저장하는 필드이다. InnoDB에서는 6바이트를 사용하여 정보를 표기한다.
System Column에는 해당 rowID(S1), 트렌젝션ID(S2), Rollback pointer(S3)를 담고 있으며 해당 크기는 각각 6바이트, 6바이트, 7바이트이다. Rollback pointer의 경우 트렌젝션 수행 중에 만일 Rollback을 하게 되면 해당데이터가 원상 복구되어야하는데 변경 전의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필드를 가리키는 포인터로 사용한다.
'Computer Science >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베이스] 트리 구조 인덱스 (2) | 2016.11.27 |
---|---|
[데이터베이스] MySQL 인덱스 (0) | 2016.10.14 |
[데이터베이스] 인덱스의 선택 (0) | 2016.10.11 |
[데이터베이스] 인덱스 개념 (0) | 2016.10.03 |
[데이터베이스] 관계 대수(2) (0) | 2016.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