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심해서 하는 블로그 :: 'knn' 태그의 글 목록

'knn'에 해당되는 글 1건

Python2.x를 사용하여 구현하였습니다. 3.x버전을 사용하시는 분들은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1.  k-NN 알고리즘

가장 가까운 이웃을 찾아라

k-NN 알고리즘은 기존의 데이터들은 각각의 라벨이 붙어 있고, 라벨이 없는 임의의 데이터 X가 과연 어떤 종류에 들어가는지 분류하는 알고리즘이다. 이때 X와 기존의 데이터들의 거리를 모두 구한 후 그중 가장 가까운 k 개의 데이터의 라벨들 중 가장 많은 수의 라벨이 X 데이터의 라벨로 결정하게 하는 알고리즘이다.


일반적으로 k-NN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수치형 값을 사용하는 편인데, 임의의 데이터와 기존 데이간의 거리를 계산하기 위해서이다. 특별히 훈련하는 과정도 없는 특징도 바로 모든 기존의 데이터와 거리를 계산하는 특징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2.  NumPy로 구현


알고리즘의 구현 순서

1) 파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 

2) 정규화(Normalization)

3) 가시화(Visualization)

4) 테스트 데이터와 모든 데이터 간의 거리 계산 후 가장 근접한 k개 데이터 선정후 다수결로 결정

   (k-NN 알고리즘)


1) 파일로부터 데이터 수집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from numpy import *
import operator
 
def file2matrix(filename):
    # 데이터에 저장된 Iris의 종류는 총 3개입니다.
    # 각각을 숫자로 매핑한 Dictionary를 구현합니다.
    Iris_dict = {"Iris-setosa" : 1"Iris-versicolor" : 2"Iris-virginica" : 3}
    
    # 파일을 열고 라인 단위로 파일을 읽어 드립니다.
    fr = open(filename)
    TextLine = fr.readline()
    
    # numOfData  : 데이터의 수를 의미
    # featMatrix : 파일로 읽어드린 데이터를 행렬로 저장하기 위해 영행렬로 초기화합니다.
    #              이 때 Feacture의 수가 총 3개이므로 Data의 수 X 3의 행렬을 만듭니다.  
    numOfData = len(TextLine)
    featMatrix = zeros((numOfData, 3))
 
    # labelVector : dataMatrix의 각 행에 대응하는 lebel을 저장합니다.
    labelVector = []
    index = 0
    
    for line in TextLine:
        # 각각의 데이터는 ','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 따라서 ','을 기준으로 분리하여 줍니다.
        splitData = line.split(',')    
        # 파일에 데이터가 "종류,특징1,특징2,특징3"으로 저장되어 있으므로
        # 두번째 열부터 끝까지가 Feature입니다. 
        featMatrix[index, : ] = splitData[1:]
        labelVector.append(Iris_dictionary.get(splitData[0]))
        index += 1
    
    return featMatrix, labelVector   
cs


2) 정규화

정규화를 하는 이유는 각각의 특징(Feature)들이 서로 다른 단위를 가진다는 점에서 시작합니다. 
만약 달리기를 하는 사람의 데이터가 아래와 같이 있다고 가정하여 봅시다

Feature 1 : 지칠 때까지 최대한 달린 거리
Feature 2 : 100m 달리기 기록

Data 1 :  (10,300m, 13.40초, 장거리 선수)
Data 2 :  (5,000m, 11.30초, 단거리 선수)

Data 1 ~ Data의 거리 :

     


kNN은 Feature 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입니다. Data 1 ~ Data 2간의 거리 값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Feature 1이 되어 버리겠죠. 왜냐면 Feature를 구성하는 단위의 크기가 어마하게 차이가

나기 때문입니다. 100m 달리기 기록을 아무리 단축하여도 거리에는 큰 영향을 못 준다.


데이터를 분석하는 사람의 판단으로 Feature 1이나 Feature 2나 동일하게 중요하다고 판단을 내리는 경우

위의 같은 사례는 썩 좋아하는 상황이 아닙니다. 따라서 데이터를 일정 범위로 줄여 버리는 과정인 정규화 과정을 거칩니다.


정규화


분모에는 각 Feature의 범위가 들어가고 분자에는 data Set에 저장되어있는 Feature 값과 최소값의 차이값이 들어갑니다. 이 식을 활용해서 파이썬으로 마찬가지로 구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위의 함수에서 이어서 사용합니다.
def normarlization(dataSet):
    # dataSet 중의 최소 값과 최대 값을 구합니다
    # 그리고 두 값의 차이로 범위를 구해줍니다.
    minVal = dataSet.min(0)
    maxVal = dataSet.max(0)
    ranges = maxVal - minVal
 
    # 정규화 결과를 저장하는 행렬을 준비합니다.
    normalDataSet = zeros(shape(dataSet))
    
    # dataSet의 행의 갯수를 저장합니다.
    rowCnt = dataSet.shape[0]
 
    # 정규화 공식에 맞게 적용하였습니다.
    normalDataSet =(dataSet - tile(minVal, (rowCnt, 1))) / tile(ranges, (rowCnt, 1)) 
    
    return normalDataSet
cs


3) 가시화

보기에도 좋은 떡이 맛도 좋다는 말이 있죠? 데이터도 숫자로 되어 있으면 뭐가 뭔지 의미를 쉽게 알 수 없을
겁니다. 파이썬에는 matplotlib라는 좋은 그래프 그리는 라이브러리가 있으니까 그것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봅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위의 함수에서 이어서 사용합니다.
def visualizeData(dataSet, labels):
    import matplotlib
    matplotlib.use('Agg')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fig, ax = plt.subplots(1,1)
    ax.scatter(dataSet[:,0], dataSet[ :, 1], 15.0*array(labels), 15.0 * array(labels))
    fig.savefig('plot1.svg')
    
    fig, ax = plt.subplots(1,1)
    ax.scatter(dataSet[:,0], dataSet[ :, 2], 15.0*array(labels), 15.0 * array(labels))
    fig.savefig('plot2.svg')
    
    fig, ax = plt.subplots(1,1)
    ax.scatter(dataSet[:,1], dataSet[ :, 2], 15.0*array(labels), 15.0 * array(labels))
    fig.savefig('plot3.svg')
 
cs


짜잔.. 숫자로 봤을 때 보다 훨씬 좋죠?


4) k-NN 알고리즘

이제 마지막으로 k-NN 분류기를 구현해보겠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위의 함수에서 이어서 사용합니다.
def classify0(testDataSet, trainDataSet, labels, k):
    trainDataSetSize = trainDataSet.shape[0]
    
    # 테스트 데이터와 훈련 데이터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과정입니다.
    diffMat = tile(testDataSet, (trainDataSetSize, 1)) - trainDataSet 
    sqDiffMat = diffMat ** 2
    sqDistances = sqDiffMat.sum(axis=1)
    distances = sqDistances ** 0.5
    
    # 오름차순으로 argsort를 합니다.
    # 거리가 짧은 순서대로 정렬이 됩니다.
    sortedDistIndex = distances.argsort()     
    
    # 다수결의 결과를 저장하는 곳입니다.
    classCount={}
    
    for i in range(k):
        # 본격 개표 방송
        #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데이터 중 k번째 데이터까지 라벨을 확인한 후
        # 투표 결과를 저장합니다.
        votelabel = labels[sortedDistIndex[i]]
        classCount[votelabel] = classCount.get(votelabel,0+ 1
    
    # 내림차순으로 정렬합니다
    sortedClassCount = sorted(classCount.iteritems(), key=operator.itemgetter(1), reverse=True)
    
    return sortedClassCount[0][0]   
 
cs


3.  마치면서..

k-NN은 단순하지만 데이터를 분류하는데 효과적인 알고리즘입니다. 하지만 데이터를 전부다 순회하면서

거리를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대규모의 데이터에 적용할 때는 시간이 오래걸리는 단점이 있습니다.

앞으로 여러 가지 알고리즘을 공부해서 포스팅 하겠습니다.


정말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밑에 하트 한 번만 눌러주시면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ㅠㅠ



,